top of page

중국의 대 동북 아시아 전략

한반도 주변 국제정세 변화와 우리의 선택 강의의 후속편으로 시간이 모자라서 못했던 부분에 대한 보강과 당면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해결방법을 토론합니다.

한반도 주변 국제정세 변화와 우리의 선택

February 27, 2017

방문자의 관심동북 아시아 주변의 갈등은 위기가 아니라 기회다. 적극적으로 잡을 것인가 아니면 망설이다 놓칠 것인가? 을 끌 수 있는 설명 및 내용을 입력하세요.

하늘을 본떠 만든 지상천국의 도시들

February 02, 2017

하늘에는 천국이 있다고 믿었던 고대인들이 어떻게 하늘로부터 내려온 천손을 통해 지상천국을 건설하고자 했는가에 대한 강의

한국-카자흐스탄 고대사의 공통점이 현대인에게 주는 미래

February 01, 2017

고대사의 해석이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제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에 대한 강의

공생과 실현 가능한 신 실크로드 계획

November 29, 2016

대한민국이 신 실크로드를 구상하면서 어떠한 경로로 건설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강의

책 "단군의 나라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본 고대 한국사

November 10, 2016

"단군의 나라 카자흐스탄"의 내용을 중심으로 고대 한민족의 역사를 고찰한 강의

실크로드 주변국과 한민족의 관계

November 06, 2016

실크로드의 주변민족들과 한민족이 어떠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강의

역사의 해석은 국익을 바탕으로

August 25, 2016

역사적 사실을 해석하는 방식은 어떠한 사관을 가지고 보는가에 따라 다르다. 오늘날 21세기의 시대에 우리는 강단사학과 민족사학이라는 관점으로  대립하고 있는데 이러한 대립이 우리의 국익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강의

유라시아 대륙에 흩어져 있는 마고의 흔적

August 16, 2016

유라시아 대륙의 샤머니즘과 문화를 통해 고대 마고문명이 있었을 가능성에 대한 강의

천문학적 관점에서 본 유라시아 마고문명의 흔적

July 12, 2016

유라시아의 정치와 종교를 아우러 세상을 지배하던 샤먼들은 부족의 구성과 신분, 계급, 정치제도를 만드는데 있어 천문을 이용했다. 고대인들이 천문을 이용해 어떻게 각종 문물을 만들었는지에 대한 강의

별과 함께 꿈꾸는 세상, 카자흐스탄의 도시건축

February 14, 2015

천문관측을 통해 도시의 위치를 선정하고 우주를 본 떠 지상에 건축물을 올리는 고대인들의 철학에 대한 강의

동북아 고대사 역사인식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

August 17, 2012

한국, 일본, 카자흐스탄 역사학 교수들과 함께 유라시아 고대 문화의 공통점과 유사성에 대한 세미나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역사-문화적 유사성

June 28, 2012

신라의 고대문화와 중앙 아시아 고대 스키타이 문화의 유사성에 대한

Historycal connection between Korean and Asian nomads

August 19, 2011

한민족과 형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터키인들과 함께 양 민족간의 역사적 유대의식을 고취함과 동시에 역사를 통한 외교적 관계의 향상을 위한 전략에 대한 강의

 

동 아시아 단군의 발자취

August 08, 2011

중앙 아시아 투르크계 민족들의 언어, 역사, 문화와 한민족간의 유사성에 대한 소개

고조선과 사크족의 연관성

January 16, 2011

중앙 아시아에 있는 거대한 국가 카자흐스탄의 카자흐족과 한민족간의 역사적 관련성

Please reload

© 2016 International Tengri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Social Icon
  • (로고) 밴드
  • (로고) 네이버 블로그
  • Twitter Social Icon
  • (로고) 카카오 스토리
  • (로고) 온오프믹스
  • YouTube Social  Icon
  • LinkedIn Social Icon
bottom of page